- 설날 아침 일찍 제물(祭物)을 사당(祀堂)에 진설(陳設)하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정조차례(正朝茶禮)라 합니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새해 첫인사를 드리는데 이를 세배(歲拜)라 하고, 어린이들은 설빔으로 새 옷을 입습니다. 또한 세배 때 대접하는 음식과 술을 '세찬(歲饌)','세주(歲酒)'라 합니다. [ 饌(찬) 반찬 ]
떡국{병탕(餠湯)} : 차례상에 오르는 대표적인 원일음식(元日飮食)으로 손님 접대에도 쓰이는 세찬(歲饌)입니다. '습면(濕麵)'으로도 불리었으며, 세속(世俗)에서 나이 먹는 것을 떡국을 몇 그릇 먹었냐고 하는 것으로 불리었습니다. ▷ 조리과정 멥쌀가루를 쪄서 떡판에 놓고 나무자루가 달린 떡메로 무수히 찧은 다음 손으로 둥글려 기다랗게 늘여 만든 것이 가래떡{백병(白餠)}인데, 이것을 얄팍하게 돈 같이 썰어 장국에 넣고 쇠고기나 꿩고기를 넣고 끓인 다음 후추가루를 쳐서 먹습니다.
시루떡{증병(甑餠)} : 새해 제사에 쓰이기도 하고 상(喪) 중의 삭망전(朔望奠:상중에 있는 집에서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지내는 제사)이나 그밖에 아무 때에라도 신에게 빌 때에 올려 사용했습니다. [ 甑(증) 시루, 餠(병) 떡 , 奠(전) 제물, 전 올리다 ] ▷ 조리과정 멥쌀가루와 삶은 팥을 각각 층으로 겹겹으로 깔되 쌀가루를 더 두툼하게 까는데, 시루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혹은 찹쌀가루를 몇 겹 더 깔아서 찌기도 합니다.
- 나이가 삼재(三災)에 해당하는 사람은 집안 문설주에다 매 세 마리를 그려서 붙여 그 해의 액(厄)을 막는 것입니다. 이 삼재의 해에 해당하는 3년간에는 언동(言動)을 조심하고 모든 일에 삼가며 꺼리는 일이 많았습니다. 삼재란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를 말하거나 병난(兵難), 질역(疾疫), 기근(飢饉)을 말하기도 합니다. [ 災(재) 재앙 ]
삼재(三災) 해당년 |
◈ 사(巳:뱀띠), 유(酉:닭띠), 축(丑:소띠) 출생자 - 해(亥), 자(子), 축(丑)년 삼재 ◈ 신(申:원숭이띠), 자(子:쥐띠), 진(辰:용띠) 출생자- 인(寅), 묘(卯), 진(辰)년 삼재 ◈ 해(亥:돼지띠), 묘(卯:토끼띠), 미(未:양띠) 출생자- 사(巳), 오(午), 미(未)년 삼재 ◈ 인(寅:범띠), 오(午:말띠), 술(戌:개띠) 출생자 - 신(申), 유(酉), 술(戌)년 삼재 |
- 새해에 일가친척간이나 친구, 젊은 사람을 만나면 올해는 "시험에 합격하시오." "부디 승진하시오" "아들을 낳으시오" 등으로 처지와 환경에 알맞은 말을 하는 것을 덕담(德談)이라 합니다. 이는 서로 복을 빌고 축의(祝意)를 표시하는 말입니다.
▷ 청참(聽讖) - 초하룻날 첫새벽에 거리에 나가 맨 처음 들려오는 말소리로 그 해 1년간의 길흉(吉凶)을 점치는 것입니다. 이 때 까지 소리를 들으면, 그 해는 운수 대통하는 것으로 여겨 왔습니다. [ 讖(참) 예언, 참서 ]
윷놀이 {사희(柶戱)}, 윷점 |
- 윷놀이는 설날의 대표적 민속 놀이로 붉은 싸리나무 두 토막을 반으로 쪼개어 네 쪽으로 만드는데, 길이는 세 치 가량입니다. 혹은 작게 반쪽의 콩알만큼 만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윷을 던져서 노는 놀이입니다. '柶'자는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의하면 '비(匕)'의 의미로 특히 네 쪽의 나무라는 뜻에서 사희(柶戱)라고 합니다. [柶(사) 윷, 숟가락 ; 윷의 뜻은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함. ] 세속(世俗)에서는 윷을 던져 새해의 길흉을 점치기도 합니다. 대개 세 번 던져서 짝을 지어 64괘(卦)로써 점괘를 알아봅니다.
- 나무로 장기쪽 같이 만들어 거기에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의 오행(五行)을 새겨 넣습니다. 그것을 함께 던져서 점괘를 얻어 새해의 신수(身數)를 점치는 것을 오행점(五行占)이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