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래
"술래잡기"놀이에서"숨은 아이를 찾아내는 차례를 당한 "아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조선 시대에 도둑이나 화재 등을 경계하기 위해 밤에 궁중과 서울 둘레를 순시하던 군인을 순라(巡邏),
또는 순라군이라고 했다.
순라가 변해 술래가 되었으며, 찾으러 다닌다는 행위의 유사성으로 인해 지금과 같은 뜻을 지니게 되었다.
술래
"술래잡기"놀이에서"숨은 아이를 찾아내는 차례를 당한 "아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조선 시대에 도둑이나 화재 등을 경계하기 위해 밤에 궁중과 서울 둘레를 순시하던 군인을 순라(巡邏),
또는 순라군이라고 했다.
순라가 변해 술래가 되었으며, 찾으러 다닌다는 행위의 유사성으로 인해 지금과 같은 뜻을 지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