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는 배추,무,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 양념을 넣고 발효시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상고시대부터 먹기 시작한 김치는 긴 겨울을 대비하여 썩기 쉬운 채소를 오랫동안 보관하여 먹을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였다.
그 때의 김치는 무·오이·가지·부추·죽순·마늘 등을 술이나 술지게미·소금과 함께 넣어 절인 것으로, 오늘날의 김치라기보다는 장아찌 종류에 가까웠다고 한다.
고려 고종때의 문장가인 이규보(1168~1241)가 지은 <가포육영>이라는 시를 보면 그때의 김치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산초나무 열매의 껍질인 천초와 생강·귤껍질 등을 양념으로 한 나박김치와 동치미도 개발되었다.
이 김치가 원나라에까지 전해져 고려양의 하나가 되었다고도 한다.
김치에 고추가루를 넣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은 아니다.
임진왜란을 전후로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고추가 일본을 통해 조선으로 들어오면서 부터이다. 이때부터 김치 담그는 방법이 한층 다양해졌다.
고추의 매운 성분이 비린내를 없애 주니까, 조기젓이나 육젓·멸치젓·새우젓 등의 젓갈류가 양념으로 쓰였던 것이다.
오늘날 즐겨 먹는 배추김치는 조선후기에 와서야 담가 먹었다.
그 역사가 300년도 채 안 되지만 다른 김치를 제치고 세계 여러나라 사람들이 입맛을 돋우는 국제식품으로 명성을 날리고 있다.
'♣ 學習 > ♧ Epi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양도성 4대문 이야기 (0) | 2016.09.09 |
---|---|
피마골 이야기 (0) | 2016.09.09 |
숟가락,젓가락 (0) | 2013.09.09 |
상투 (0) | 2013.09.09 |
복덕방의시초 (0) | 201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