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學習/♧ Simple♤ Life

국악기

천지인야 2013. 9. 9. 13:29

 
쇠

장구


생황

태평소
용고

풍물북


피리

대금


자바라
아쟁
가야금
양금


역사속의 악기는 무척 많으나, 현재까지 전하는 것은 약 60여종에 이른다.
이러한 악기들 중에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만든 악기들도 있는 반면, 중국이나 서역등지에서 들어와 사용된 악기도 있다. 이렇게 외국에서 들어온 악기들은 대부분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그 연주방법이나 조율방법은 우리 음악을 연주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향악화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실제 연주에 쓰이는 30여종을 제외한 나머지는 안타깝게도 연주법이 전해지지 않고 있거나,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지 않아 쓰이지 않고 있다.



악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중요한 여덟가지 재료를 '팔음(八音)'이라고 한다.
쇠(金)·돌(石)·실(絲)·대나무(竹)·바가지(匏)·흙(土)·가죽(革)·나무(木)가 그것이다.
이 분류법은 악기에 쓰이는 주 재료가 같은 것끼리 묶는 방법인데, 동양의 음양오행 사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금부(金部)악기 쇠붙이로 만든 악기 편종 특종 방향 꽹과리 나발
석부(石部)악기 돌을 깍아 만든 악기 편경 특경
사부(絲部)악기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 줄을 공명통에다 얹은 악기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비파 등
죽부(竹部)악기 대나무로 만든 악기 피리 대금 중금 소금 단소 퉁소 등
포부(匏部)악기 바가지로 만든 악기 생황
토부(土部)악기 흙을 구워 만든 악기 부 등
혁부(革部)악기 통에 가죽을 씌워 만든 악기 장구 갈고 좌고 소고 절고 진고 교방고 용고 같은 북종류
목부(木部)악기 나무로 만든 악기 태평소

관악기ㆍ현악기ㆍ타악기로 분류하는 방법은 최근에 많이 쓰는 분류법이다.

관악기는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고,

가로로 부는 악기 대금 중금 소금
세로로 부는 악기 무서 약 적 소 퉁소 단소
홑서 생황
겹서 피리 태평소
기타 나각 나발

현악기는 매어놓은 줄을 울려서 소리 내는 악기이고,

발현악기 손으로 퉁겨서 타는 악기 가야금 대쟁 금 슬 월금 향비파 당비파 대공후 소공후 와공후 수공후 등
술대로 줄을 뜯는 악기 거문고
찰현악기 아쟁 해금 대쟁
타현악기 양금

타악기는 두드리거나 흔들거나 긁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유율악기 편종 특종 방향 운라 편경 특경
무율악기 자바라 대금 소금 부 갈고 절고 등의 북 종류

'♣ 學習 > ♧ Simple♤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의 음악  (0) 2013.09.09
통일신라의 음악  (0) 2013.09.09
삼국시대의 음악  (0) 2013.09.09
상고시대의 음악  (0) 2013.09.09
위스키 연산  (0) 2011.07.14